본문 바로가기
Education/Principles of Language Learning and Teac

Ch.2 First Language Acquisition

by Yebin (Kylie) 2023. 4. 19.
더보기

- 아이들이 말을 하는 것을 들어보면 뒤죽박죽이지만, 창의적이고 신박한 표현도 많음

- 문법적인 오류도 많지만, 오류를 보면 나름 체계가 있음

- 20세기 즈음 되어서야 비로소 child language의 연구가 체계적으로 들어가게 됨 (심리언어학)

- 모든 아이들은 노력하지도 않고 자연스럽게 언어를 터득하게 됨

- L1과 L2의 차이점을 알기 위해서는 L1의 개요를 잡고 L2의 원리를 이해나가는 것이 좋음

 

1. Theories of First Language Acquisition

   1) Behavior Approaches

       - Challenges to Behavior Approaches

   2) The Nativist Approach

       - Challenges to Nativist Approaches

   3) Functional Approaches

       - Cognition and Language Development

       - Social Interaction and Language Development

2. Issues in First Language Acquisition

     - Competence and Performance

     - Comprehension and Production

     - Nature or Nurture

     - Universals

     - Systematicity and Variability

     - Language and Thought

     - Imitation

     - Practice and Frequency

     - Input

     - Discourse

3. L1-Acquisition-Inspired Methods


1. Theories of First Language Acquisition

- 18개월 가량: 아기들은 telegraphic utterance를 함 (2단어~3단어를 말하지만 의미는 통함)

- 2살: 언어가 더 정교해지고 종류가 급격히 많아짐 (부정형, 질문형)

- 3살: 언어가 폭발적으로 늘기 시작 (끝없이 이야기하기 때문)

          → 창의력까지 있기에 본인이 아는 모든 단어를 합쳐서 말함

- school age: 무엇을 말해야 할 지 뿐만 아니라, 무엇을 말 하면 안 되는지도 알게 됨

                      ( 상황에 맞게 언어를 구사함 ) 사회적 기능

 

● L1 습득에 대한 양 극단

○ Behaviorism (행동주의): 아이들은 세상에 tabula rasa를 가지고 태어남

                                          ( 깨끗한 판 ; 세상이나 언어에 대한 사전 지식이 없는 백지 상태) 

                                    - 하얀 판 조건화 / 강화  성장

○ Nativist (인지주의) : 전제 1) 아이들은 태어날 때 타고난 지식, 성향, 생체 리듬을 가지고 있다.

                                            2) 상호작용과 담화를 통해 언어 기능을 배워간다.

- 이 사이에 많은 중간 입장들이 분포되어 있음

 

2. Behavior Approaches    행동주의    < Skinner >

더보기

아빠가 걸어 들어오자, 9개월 아기가 반기며 말한다. "Dada!"

아빠는 웃으며 "Hi, sweetie!"라고 말하며 안아준다.

"Dada!"라고 말함 [자극] → 아빠가 "Hi, sweetie!"라고 말해줌 [반응] → 아빠가 안아줌 [보상]

→ 이렇게 해주니까 안아주네? 앞으로 더 해야지! [촉진]

= 특정 반응으로 보상받으면, 습관화되고 조건화되게 됨

 

- 행동주의는 언어적 행동에서 즉각적으로 인지되는(perceptible) 측면만, 자극과 인지되는 보상 간의 관계만을 다룸

- 아이가 적절히 반응하는 것으로 보아서는, 완벽하지는 않지만 이해는 하고 있음

 

▣ Skinner [ Verbal Behavior ]

* Operant Conditioning: 조작적 조건화 = (눈에 보이는) 자극이 없어도 반응이 일어남

- 결과로 행동이 결정됨 = 결과에 대한 보상 → 행동 O / 결과에 대한 벌 → 행동 X

ex) 아기가 hungry → cry → hug

                  (자극)                (반응)

                 hug를 원함 → cry

                   (반응)         (자극)

 

2-1. Challenges to Behavior Approaches 행동주의의 단점

▣ Chompsky (생득주의) : 말하는 모든 문장마다 자극과 반응을 따지는 것은 힘들다

                                        + 언어의 창의성을 설명할 수 X

▣ Osgood : Mediation Theory (행동주의 옹호)

: 언어적 자극은 마음 속에 있는 비밀의 자극을 이끌어 낸다.

" 자극이 없다고 하는데, 있어! 언어적 자극이 마음속에 있어. 안 보일 뿐이야! "

비판 1) "mentalistic"에 대한 것이 너무 많음

- ① 언어의 추상적인 부분, 창의성, 언어적 자극의 상호작용 설명 X

 

3. The Nativist Approach    생득주의    < Chompsky >

- 행동주의의 비판으로부터 시작

- 언어 습득은 천성적으로부터 결정되어 졌으며,

  언어 체계를 인지하는 유전적 능력을 가지고 태어남 → 언어능력 = 언어 체계의 내재화

▶ Competence 강조

 

▣ Eric Lenneberg : 언어는 species-specific (종특) 이며, 언어관련 매커니즘은 생물학적으로 결정됨

 

▣ Chompsky : Language Acquisition Device (LAD) = 뇌에 있는 작은 블랙박스

                         1) 일반 음향 소리 - 언어적 소리(speech sounds) 구별

                         2) 다양한 범주로 구분 ( metalinguistic words = metalanguage

                                                                : 언어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언어 (ex. 명사, 동사, 가정법)

                         3) 문법성 (어떤 언어 체계는 가능하고, 어떤 건 안 되는지 아는 것)

                         4) 가장 간소화된 표현 추구

- 행동주의의 자극-반응 이론 vs Chompsky의 LAD로 많은 논쟁

 

▣ Universal Grammar (UG)

- 생득론자들이 LAD를 넘어 보편적인 언어학 규칙 체계를 세운 것

- 의문형 만들기, 부정형, 어순, 삽입절로 인한 문장의 끊김, 주어의 생략(스페인어), 다른 문법적 현상을 연구

 

- 아이들의 언어는, 어느 단계에서나 나름 본인만의 체계를 가지고 있음

- 본인이 아는 한 가설을 설정하는 과정을 반복하는데, 아이의 언어가 발달할수록 가설이 계속 다듬어짐

 

▣ Jean Berko 

: 아이들은 언어를 독립적이고 분리적으로 보는 것이 아닌, 통합된 체계로 봄

- 아이들이 문법 체계를 어떻게 적용시키는 지 연구

ex) wug라는 단어를 지어낸 후, 복수형을 써 보라 하니 wugs라고 응답 → 저 기저에 underlying structure이 있구나

 

▣ Pivot Grammar (중추 문법)

- 아이들이 무작위로 두 세 단어를 말하지만, 정말 아무 단어나 연결하는 것은 아님

ex) my cap, that horsie, bye-bye Jeff, Mommy sock

→ my / that / bye-bye / Mommy    ㅡ    cap / horsie / Jeff / sock 

           같은 범주의 단어끼리는 어울릴 수 X ( my that X )

∴ Sentence = pivot word + open word

 

3-1. Challenges to Nativist Approach 생득주의의 단점

1) Parallel Distributed Processing (PDP) 

- 글을 읽을 때, 뇌는 동시에 여러 분야에서 정보를 가져와 가공

- 아이들의 언어 수행은 신경세포의 상호작용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결과 ( 규칙 하나 적용, 다음 규칙 적용, 그 다음... X )

   ≒ 오케스트라의 합주

2) Connectionism 

   : 엄청난 양의 신경세포가 대응관계에 하나하나 서로 연결되어 있음

      → 경험이 특정 연결을 강화 → 대신 다른 연결이 약해질 수도 있음

   ex)       go     -      goed     -      went

           go의 과거형이 goed인 줄 알았음 → go - goed 연결 ↑

           goed가 아니라 went 였음 → go - went 연결 ↑ / go - goed 연결 ↓

3) Emergentism (창발론)

    " 세상이 자연스럽게 생겨났듯, 언어도 자연스럽게 생겨났지 않았을까? "

 

4. Functional Approaches    구성주의

▣ 구성주의의 형성 배경

1) 언어는 세상, 다른 사람들 그리고 나와의 인지적 능력이다

2) 생득론자들의 generative rule은 언어의 형태는 다루나, 사회적 상호작용으로 만들어지는 더 깊은 단계까지 설명 X

 

1) Cognition and Language Development

Louis Bloom : telegraphic utterance에서의 단어들의 관계는 겉으로 보기에만 비슷해 보임

ex) " Mommy Sock "

1) agent-aciton (주어-동사) : 엄마가 양말을 신고 있네

2) agent-object (주어-목적어) : 엄마가 양말을 보네

3) possessor-possessed (소유격-명사) : 엄마의 양말

∴ 아이들은 ' 겉으로 보이는 단어 순서 ' 를 아는 것이 X ' 기저에 깔려있는 구조 ' 를 안다 O

+) 사회적 맥락에 따라, "Mommy sock"은 아이에게 다양한 의미가 될 수 있음

     = 사회적 맥락을 보아야 정확한 의미 이해 가능 → 화용론

 

 Jean Piaget : 환경과 상호작용하여 언어가 발전

- 아이들이 언어에서 배우는 것은 세상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는 것에 따라 결정

⊙Gleitman and Wanner : 아이들은 세상을 분류시키는 개념 해석 능력을 가지고 언어 학습에 접근

⊙Dan Slobin : 의미론적인 복잡성 → 인지적 발전 → 의미론적 학습

⊙Bloom : 아이들이 아는 것에 따라 말하기와 이해 능력에 대해 무엇을 배울 건지를 결정

 

2) Social Interaction and Language Development 

- 아이들의 언어 습득과 사회적 시스템 간의 관계 연구

  → 아이들은 어른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언어를 습득

- 언어의 수행에 대해 초점 (performance): 망설이거나 멈추거나 절거나 하는 것도 실제로 중요한 담화 요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