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ducation/특수교육의 이해6

7. 통합교육을 위한 교육지원 1. 통합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 " 중다수준교육과정 + 중첩교육과정 " 1) 공통활동: 모든 학생들 참여 2) 구분활동: 수준별 or 개별 학습성과 달성 - 중다수준교육과정: 학생에게 적절한 어떤 수준으로부터 제공될 수 있는 학습성과 달성 - 중첩교육과정: 장애학생 만의 차별화된 교욱과정 상의 학습성과 달성 → 장애학생 학습성 or 수준이 대부분 학생과 비교해서 심각하게 낮을 때 ∴ 1) 비장애학생들과 동일한 학습성과 도달할 수 있는가 2) 어렵다면, 중다수준교육과정 두가지 수준은 가능할까 ML-S (동일한 내용, 다른 수준·분량) / ML-D (다른 내용, 수준, 분량) 3) 중첩교육과정 2. 교수적 수정 (instructional adaptation) for 장애학생의 의미 있는 일반학급 참여 1).. 2023. 4. 16.
6. 특수교육 교육과정과 개별화교육계획 1. 특수교육 교육과정 cf) 장특법 시행으로 특수학교 교육과정 → 특수교육 교육과정으로 명칭 변화 - 특수교육 교육과정 : 특수교육법을 근거로 특수교육대상자가 배치되어 있는 유치원, 초, 중등 학교, 특수학교의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국가수준 교육과정 : 일반 유치원 교육과정(누리과정) 목적을 장애유아에 맞게 설정 - 대상 : 만 3~5세 발달지체 유아 - 누리과정에 최대한 참여할 수 있도록 개별화교육계획(IEP) 수립 - 대상 : 일반교육의 초, 중등 교육과정을 보완하여도 어려운 발달장애 학생들 - 실생활 연계 위주 - 특징 1) 핵심역량 중심 교육과정 - 삶의 맥락에 걸쳐 모든 사람이 필요올 하는 일반적인 요소 ( ex. 직업생활 ) 2) .. 2023. 4. 16.
5. 통합과 교육배치의 원리 1. 국내 통합교육의 정의 - 통합교육의 정의 in 장특법 : 특수교육대상자가 1) 일반학교에서 장애유형, 장애정도에 따라 차별을 받지 아니하고 (= 다양성 인정과 수용) 2) 또래와 함께 개개인의 교육적 요구에 적합한 교육을 받는 것 ( = 교육 평등성 추구) 을 말한다. 요구 충족 = 특수 교육 = 일반학교에서 특수교육 하겠다 ▲ 문제 1 ] 분리교육을 받는 약 30% 장애학생들에 대해서는 통합 기준 X ▲ 문제 2 ] 물리적 통합 인정 X - only 교수적 통합, 사회적 통합 +) 통합교육의 목적 in 장특법 :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가 장애인 및 특별한 교육적 요구가 있는 사람(=학습 장애)에게 통합된 교육 환경을 제공하고 (=통합교육 지향) 생애 주기에 따라 장애유형, 장애정도의 특성을 고려한 .. 2023. 4. 16.
4. 교내 특수교육 현황과 교육지원 1. 국내 특수교육의 현황 ▲ 통합교육 강조 → 통합교육 받는 장애학생 ↑ / 분리교육 ↓ ▲ 장애학생 55% 특수학급 → 기본교육과정 = 통합교육 = 발달장애 ( 지적장애, 자폐성장애 [인지능력 ↓ ] ) → 교육과정상 지원 필요하다면, 순회교육 (특수교육서비스) 16% 일반학급 → 일반교육 교육과정 = 통합교육 = 지체, 시각, 청각 장애 ( 인지능력 OK ) 나머지 → 특수학교 = 분리교육 +) 순회교육 1) 순회학급 : 가정, 시설, 병원, 학교에 있는 특수교육대상자를 대상 실제 학급 → X - 통학이 곤란하여 가정에 있는 장애학생, 파견학급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시설이나 의료기관의 장애학생, 특수학급이 설치되지 않은 일반학교에 배치된 장애학생 2) 파견학급 : 실제 학급 O (ex. 병원학교) .. 2023. 4. 16.
3. 특수교육의 개념 1. 특수교육대상자 - 특수교육대상자 = 특수교육이 필요한 사람으로 선정된 사람 (cf. 신청은 누구나 가능) -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 사람 중 특수교육이 필요하다고 진단된 사람 = 특수교육대상자로 선정 1) 시각장애 2) 청각장애 3) 지적장애 4) 지체장애 5) 정서, 행동장애 6) 자폐성장애 7) 의사소통장애 8) 학습장애 9) 건강장애 10) 발달지체 - 특수교육 적격성 판정 기준 충족 = 특수 교육 1) 학생에게 장애가 있어야 함 2) 그 장애가 교육적 성취에 불리함, 어려움을 줌 (교육 = 교수 + 학습 → 교수에 어려움 or 학습에 어려움) cf) 9번과 10번은 출석인정과 수업 결손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만들어짐 2. 특수교육의 정의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 장특법 (=등록.. 2023. 4. 16.
2. 장애개념 및 특수교육의 특징 1. 장애 명칭과 의학적 진단의 의미 1) 의학적 관점 - 장애의 원인 : 개인(휠체어 사용자) - 신체나 인지에서 '비정상성' → 정상으로 돌리기 위해 '교정'해야 함 - 장애 = 극복해야 하는 대상 * 계단 = normal / 계단을 못 올라가는 사람 = abnormal * 교과서 = normal / 교과서를 못 읽는 사람 = abnormal 2) 사회적 관점 - 장애의 원인 : 환경(계단) → 보통 비장애인들을 위해 설계되었기 때문에 이 점을 간과하였구나! → 보편적 설계(universal design) : 모든 사람들이 사용할 수 있게 디자인하자 X 최대한 많은 사람들이 사용할 수 있게 디자인하자 O → [교육계] 보편적 학습 설계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 UDL.. 2023. 4.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