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ducation/Principles of Language Learning and Teac

Ch.1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by Yebin (Kylie) 2023. 4. 7.
  Carson은 캘리포니아 사람인데 고등학교 2년과 대학교 2년, 총 4년 스페인어 수업을 들었다.
쓸모 없다 느껴 Costa Rica에 가서 최대한 영어를 덜 쓰고 스페인어를 많이 쓰려 노력했다. 다시 미국에 왔을 때, 대화하며 "잘 어울릴 만한" 정도의 스페인어를 터득했다고 말했다.


  Sonia는 브라질 사람인데, 독일 부모님의 등쌀에 못이겨 고등학교 내내 독일어 수업을 들었다.
대학교 2년이 지나자, 그저 부모님을 기쁘게 하려고 독일어를 배우는 느낌이 든다고 하며, 독일어 문법에 대한 지식은 많다 느낀다고 했다. 십년이 지나고 본인의 독일어 실력은 어느정도냐 물으니, 듣기는 꽤 괜찮고, 독해는 괜찮으며, 말하기는 못하고, 작문 실력은 거의 존재하지 않다고 답했다.

이를 통해 언어의 유창성은 하루 아침에 이루어지지 않음을 알 수 있다.

 

*  SLA : second language acquisition

* L1: first language

* L2: second language

 

1. Learner Characteristics

: 학습자의 인종, 언어학, 종교적 heritage, 교육 수준, 사회경제적 특성, 학습에 영향끼친 경험, 지적 수용성, 능력, 장점과 단점, 성격 등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수업을 진행해야 함

(현실적으로 이러한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1대 1의 수업은 거의 불가능)

 

2. Linguistic Factors

: 언어가 무엇인지, 대화가 무엇인지, 언어를 '사용할 줄 안다'는 것은 무슨 말인지, L1과 L2 간 차이는 무엇인지, 학습자가 L2를 학습하기에 힘들 언어의 속성은 무엇인지

 언어학 핵심 질문

 언어를 가르치기 위해서는 먼저 그 언어를 알아야 함

 

3. Language Processes

: 학습이 어떻게 이루어 지는지, 특정 단계가 있는지, SLA에서 정신적, 지적 과정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학습자에게 어떠한 종류의 전략이 가능하고 어떤 전략이 최적인지, 정신적, 감정적, 신체적 과정의 최적 상호작용은 무엇인지

 

4. 나이와 습득 (Age and Acquisition)

아이들이 어른들보다 언어 습득을 더 잘한다고 하는데 진짜인지,

어른으로 접어들기 전에 발생하는 발달 변화가 어떻게 SLA에 영향을 주는지

 

5. 교실 교수 (Classroom Instruction)

"자연스러운" 환경에서 모든 사람들은 똑같이 성공적으로 언어를 배울 수 있는지,

왜 '주입식' SLA라고 불려지게 되었는지,

교과서, 학습 자료, 선생님 스타일 그리고 교수적 요소의 결과는 무엇인지,

성공적인 습득에 요구되는 최적 시간이 있을지,

어떻게 학생이 수업시간에 배운 것을 실제 세상에서 쓰게 할 수 있을지

그 대안으로 영어마을이 나왔음

 

6. 문맥 (Context)

학습자들은 새롭게 배우려는 언어의 문화적, 언어적 환경에서 그 언어를 배우려고 하는지,

아니면 제2언어만 사용할 수 있는 인공적인 환경에서 배우려고 하는지(교실 혹은 영상)

특정 나라의 사회정치적 환경 혹은 언어 정책이 어떻게 학습자의 언어 습득에 영향을 미치는지

문화 간 차이점 혹은 유사점이 학습 과정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7. 목적 (Purpose)

모든 질문을 가장 아우르는 것으로, 왜 학습자들은 제2언어를 배우려고 할까?

 

8. Rejoicing in our defeats

위의 질문들에 대해 '정답'을 내리는 것을 불가능하다.

그만큼 어렵기에 우리는 실패를 즐길 수 있고, 답을 내야 한다는 퀘스트를 신난다고 느낄 수 있다.

SLA의 어려운 부분도 있지만, 여태까지 축적된 다량의 시스템적인 지식도 있다.

하지만 이 점을 전제로 깔아야 하는데, 하나의 실험이나 가설이 모든 학습자에게 적용할 수 있는 마법의 공식은 아니라는 것이다. 

 

9. Language

1) Definition: a statement that captures the key features of a concept

2) Merriam-Webster's Collegiate Dictionary

     : a systematic means of communicating ideas or feelings by the use of conventionalized signs, sounds, gestures, or marks, having understood meanings

 

언어는

1. 체계적이다

2. 임의적인 기호를 사용한다(사회적 약속)

3. 주로 소리와 관련된 기호를 사용하나(말) 눈에 보일 수도 있다(글)

4. 관습적인 의미를 가지는 기호를 사용한다

5. 대화를 위해 사용된다

6. 말을 하는 사회에서 이용된다

7. 주로 인간이나, 인간에게만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8. 보편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

 

어떻게 언어를 이해하고 있느냐에 따라 교수법이 조금씩 달라질 수도 있다.

 

10. Learning and Teaching

1) learning의 traditional definition: acquiring knowledge of a subject or a skill by study, experience, or instruction

2) learning에 대한 educational psychologist: a change in an individual caused by experience

3) teaching의 traditional definition: showing or helping someone to learn how to do something, giving instructions, guiding in the study of something, providing with knowledge, causing to know or understand

learning과 teaching 같이 이렇게 복잡한 개념을 사전적 정의로 내리기도 어려울 듯 하다.

 

학습은

1. 얻는 것 혹은 "더하기"

2. 정보나 기술의 유지

3. 저장소, 기억 그리고 인지적 가지치기의 확장

4. 적극적이고 의식적인 집중, 잠재적인 집중의 적용

5. 상대적으로 영구적이나 잊어버릴 수도 있음 → 뇌의 기능

6. 연습의 결과(강화된 행동) → 행동주의자

7. 행동의 변화

 

이러한 개념은 심리학에서도 적용이 된다. 

가르치는 것은 학습에서부터 떨어뜨려 적용시킬 수 없다. 

학습자에 대한 이해 + 가르칠 언어에 대한 이해 + 교수법 이론 성공적인 과정 = 모든 수단을 다 쓴 당신만의 교수법


11. Three Perspectives on SLA

1) Structural Linguistics and Behavior Psychology

2) Generative Linguistics and Cognitive Psychology

3) Constructivism: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12. Structural Linguistics and Behavior Psychology

1940년대와 1950년대, 언어학의 구조학파, 기술학파

가 인간 언어에 대해 과학적인 접근을 할 수 있다고 주장

 

Structural & Descriptive 

- 오직 "관찰 가능한 것만" 연구의 대상으로 삼았다. (심리적 요소 X)

- 인간 언어에 대해 과학적인 접근을 할 수 있음

: 언어는 분해 가능하고, 그 분해된 부분은 과학적으로 설명이 가능하다 주장

> 언어학 발달(언어를 기술)

 

● Structuralist (구조주의자) : 인간의 언어를 기술하여 구조적인 특징을 알아내고자 함

- 언어는 끝도 없이 다를 수 있으며, 언어 사이에 어떤 선입견도 있어서는 안 된다.

- Freeman Tweddel은 그 중에서도 특히나 관찰 가능한 자료만 연구하라고 하였으며, 관측하지 못하는 추측, 예감, 직감 부분의 정신적 측면은 무시하라고 하였음.

 

●  Behavoralism (행동주의) :

Skinner, Charles Osgood이 특히나 인간 행동에 대한 과학적 연구 주장

- behavior paradigm에서 '생각', '개념' = 설명 가능한 허구

- 타당한 반응이라는 것은 객관적으로 인지되고, 측정되고, 기록되어질 수 있는 것

= 의식, 생각, 개념 형성, 지식 습득은 측정 불가능한 주제

 

 

13. Generative Linguistics and Cognitive Psychology

 

● Generative-transformational Linguistics (Noam Chomsky)

- 인간의 언어는 관찰 가능한 자극과 반응 관점으로는 연구할 수 없다고 주장

- 언어를 묘사하는 것뿐만 아니라, ??????????

- 20세기 초반부터 Ferdinand de Saussure이 parole과 langue의 차이가 있다고 하면서 시작되었음

  parole : 스키너가 "관측"이라고 불렀고 Chompsky가 "performance"이라고 한 것

  langue : competence(수행)의 개념 = 기저에 깔려 있고 측정 불가능한 언어 능력

- generative linguistic은 performance 중심인 표면에 드러나는 언어에만 초점을 맞추는 descrptivist와 연을 끊고,

   그렇게 표면에 드러나는 언어를 만들게 해준 기저에 깔린 의미와 생각의 중요성에 초점을 맞춤

 

Cognitive

- 심리학 연구에 있어서 의미, 이해, 아는 것은 매우 중요한 자료

- 기계론적인 자극과 반응 < organization and functioning

- David Ausubel : behaviorist는 고도로 복잡한 심리학적인 현상을 과하게 단순화시켜버린다

- 1960년대의 Cognitive의 성장은 인간 연구에 있어서 명백한 변화가 있음을 시사함 to 마음, 뇌, 의도, 생각, 학습

- 내적 동기를 찾고자 함(=generalist) + 이성적 접근을 이용하여 인간 행동을 구조화하려고 하였음

= 인간의 행동을 설명하기 위해 behaviorist의 경험주의 연구 → 논리, 추론 추정

- 단순히 discriptive하는 것이 아니라 explanatory로 갔다는 것도 엄청난 변화

Structural / Behavioral Generative / Cognitigve
- description에 흥미
- 통제된 환경에서 관측가능한 방법으로 인간의 행동이 "무엇"인지에 초점
- explain에 흥미
- 궁극적인 "Why"에 초점 : 무슨 기저에 깔린 요소
(심리학적, 사회적, 환경적 상황 등)가 인간의 특정 행동에 영향을 미쳤을까?

 

14. Constructivism: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1) Cognitive Constructivism (인지적 구성주의) < 개인 > < 선후경험 >

- 주변 환경을 파악할 개인의 인지 발달 상태에 중점

- 자신의 것으로 만드려면 혼자서 개인적으로 해 보아야 한다

- 20세기 중반 Piaget 이론에 기반 = 선후 경험에 기반

 

     2) Social Constructivism (사회적 구성주의) < 상호작용 >

- 사회적 상호작용과 협동적 학습 강조

** Vygotsky : 아이들의 생각은 사회적으로 형성되어짐

   + ZPD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 학습자의 현재 발달상태와 잠재력 간의 차이

= 아직은 못하지만 주변의 도움이 있으면 할 수 있음

* Mikhail Bakhtin(러시아 문학 이론가)

   : 언어는 사회적 문화적 문맥에 있기에, 주요 기능은 대화의 수단으로서 역할하는 것이다.

* Watson Gegeo : 마음, 언어, 인식에 대한 재고려 + 사회적 관계에서 발생한 인


[ GTM → ALM  → CLT ]

 

15. Nineteen Centuries of Language Teaching     < Classical Method >

1) Classical Method : 문법 규칙, 단어 암기, 문법 형식, 해석, 쓰기 연습

- 듣기/말하기를 위한 것 X 학자처럼 공부하기 O

- Grammar Translation Method: 언어 공부를 개혁하자 하였으나 굳건히 남아 있음 → 가장 충직한 방법이기 때문

  반) 언어공부를 지루하게 생각하는 사람들에게는 마지못해 외우는 방법

        언어의 대화 능력을 키우는 데는 하나도 도움이 되지 X

  찬) 객관적으로 평가 가능

        그래도 독해 능력을 키워주지는 않느냐

 

16. Language Teaching in the Twentieth Century

- 학파가 바뀌면서 언어 교수법도 인기에 따라 오르락내리락 거렸음 like 추

- 25년마다 새로운 방법론이 기존의 방법론을 제치고 나오지만, 기존 패러다임의 장점도 가려옴

 

2) Audilingual Method (ALM) : 청하식 교수법

- 말하기의 반복 연습 강조

- 직전 인기 방법이었던 Direct Method의 내용을 빌림

- Classical Method였던 Grammar Translation Method 비판

- 하지만 cognitive 심리학의 인기가 커지면서, ALM 비판자들이 언어의 인지적인 부분(규칙)에 초점을 두며 GTM으로 되돌아가려 함

 

3)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CLM) 

- 목표: 의사소통 (우리나라에 원어민이 폭발적으로 들어옴)

- 규칙, 정의, 언어의 지식 가르치기 → 진정으로 대화하도록 가르치기

 

+) Method < Approach

- 요새는 최고의 '방법'이나, 최고의 통설이라는 것이 존재 X (이전과 가장 다른 점)

  ( method라는 것은 방대한 상황에서 방대한 학습자들에게 적용시키기에는 너무 지엽적이기 때문 )

- approach(접근법)

   : 모든 학습자와 선생님과 맥락은 다 다르기에, 이러한 상황을 파악

     → approach(접근법)을 사용하여 기반을 쌓아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