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ociety8

차터 스쿨 (Charter school) https://www.youtube.com/watch?v=PyBUlSrIOh4 https://www.youtube.com/watch?v=S2vcuBNM1YU 미국에 Charter school(공적 자금을 받아 교사, 부모, 지역 단체 등이 설립한 학교)이 급속도로 성장함에 따라 다양한 논란이 일고 있다. public school에 들어가야 하는 교육 자금을 빼돌리는 것 아니냐는 문제이다. Charter school은 훨씬 더 영향이 커지고 있으며, 아이들의 각 실력도 훨씬 향상되었다는 보고가 나오고 있다. 게다가 African-American은 자신한테 이게 가장 좋은 학교라고 말을 하며, 다른 색의 사람들과 갈등이 일어나고 있다. 그러나 '어떻게 설립되었는지'는 더 이상 중요하지 않고 교육이 훨씬 더 .. 2021. 12. 17.
인종주의 (Racism) https://www.youtube.com/watch?v=dLAi78hluFc 'national brotherhood week'를 소개하면서, 자신의 brother인 것처럼 해야 한다고 한다. 그리고 이렇게 사회에서 취급받지 못하는 사람이 누구냐는 선생님의 말에 black과 Indian이라는 말을 한다. 그리고 파란 눈보다 갈색 눈이 더 멍청하다고 선생님이 말하며, 갈색 눈 아이들이 무시당하도록 한다. 그리고 다른 날, 파란 눈 아이들이 무시당하도록 한다. 각 날에 차별당한 아이들이 시간이 느리게 가고 그렇게 차별 받는게 힘들다는 걸 알게 하는 수업이도록 하는 것이었다. 2021. 12. 17.
이민자 사회의 딜레마(Dillema of Immigrants Society) 이 게시물은 한국외국어대학교 '현대 영미 사회'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This post is written based on 'Modern British-American Society' in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Languages. 1. 계속 들어오는 이민자들 1) 최근까지도 이민자의 수는 많아지고, 다양해지고 있다. - 미국은 전 세계 200개국 가량 중, 200개 모든 나라에서 온 이민자가 있는 유일한 나라이다. 2) 유럽계 이외의 미국인이 많아지고 있다. - 1970년대 이후, 히스패닉(중남미 이민자), 아시아인의 비중이 커지고 있다. 3) 백인 사이에서도 위계체제가 있다. 이는 이민자가 들어온 순서대로이다. (결혼할 때 가장 두드러진다.) - 영국 > 북서 유럽계.. 2021. 12. 17.
미국의 성별(Gender) 이 게시물은 한국외국어대학교 '현대 영미 사회'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This post is written based on 'Modern English Society' in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Languages. 1. 성 역할과 노동 참여 2. 성 불평등 3. 여성다운 것이 나쁜 걸까? 4. 페미니스트 1.성 역할과 노동 참여 ● 성 역할 - 여성은 만들어지는 것이지 태어난 것이 아니다. - 보바라(프랑스의 철학자) = '여자'가 되도록 하는 사회화 - 남자와 여자 간 역할의 분배는 전통 사회에ㅅ의 구조적 기능이었다 남자: 가장 여자: 집안일 - 가부장적: 여자보다 남자가 우위에 있는 것 : 성 역할은 집 안과 밖에서 힘의 차이를 가르치는 기본 교육임 - 여성의 지위.. 2021. 10. 21.
미국의 구조 조정 (Restructuring of America) 이 게시물은 한국외국어대학교 '현대 영미 사회'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This post is written based on 'Modern English Society' in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Languages. 1. 어디서부터 어디로 변화했을까? 2. 무엇이 변화를 일으켰을까? 3. 미국 산업의 구조조정 4. 1970년대 이후로 들어온 새로운 이민자 5. 흑인 운동과 여성 운동 6. 현재 미국 사회는 어떨까? 1.어디서부터 어디로 변화했을까? ● "Good Old Days": 세계 2차 대전~1970년대 초반 - 매년 3%씩 지속적인 경제 성장 - 모든 계층에서 소득↑, 가난↓, 교육 수준↑ - 좋은 직업은 계속 증가, 안정된 직업 - 사람들은 어린 나이(20대 초.. 2021. 10. 21.
미국의 불평등(Inequality) 이 게시물은 한국외국어대학교 '현대 영미 사회'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This post is written based on 'Modern English Society' in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Languages. 1. 소득 불평등이 독보적인 미국 2. 미국 사회의 불평등한 모습 3. 왜 미국은 이렇게 불평등한 나라일까? 4. 불평등 뒤의 사회·문화적 배경 1. 소득 불평등이 독보적인 미국 - 미국은 선진국 중에서 독보적으로 불평등함 - 미국은 1인당 소득이 높은 것에서 알 수 있듯 부유하지만, 불평등을 해소하려는 노력을 하지 않음(복지국가의 기능↓) (국력↑불평등↓이지만, 유일하게 이와 반대되는 모습을 보여줌 : 70년대 이후의 Oil Shock + 구조조정 = 불안.. 2021. 10.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