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첩교육과정2

7. 통합교육을 위한 교육지원 1. 통합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 " 중다수준교육과정 + 중첩교육과정 " 1) 공통활동: 모든 학생들 참여 2) 구분활동: 수준별 or 개별 학습성과 달성 - 중다수준교육과정: 학생에게 적절한 어떤 수준으로부터 제공될 수 있는 학습성과 달성 - 중첩교육과정: 장애학생 만의 차별화된 교욱과정 상의 학습성과 달성 → 장애학생 학습성 or 수준이 대부분 학생과 비교해서 심각하게 낮을 때 ∴ 1) 비장애학생들과 동일한 학습성과 도달할 수 있는가 2) 어렵다면, 중다수준교육과정 두가지 수준은 가능할까 ML-S (동일한 내용, 다른 수준·분량) / ML-D (다른 내용, 수준, 분량) 3) 중첩교육과정 2. 교수적 수정 (instructional adaptation) for 장애학생의 의미 있는 일반학급 참여 1).. 2023. 4. 16.
6. 특수교육 교육과정과 개별화교육계획 1. 특수교육 교육과정 cf) 장특법 시행으로 특수학교 교육과정 → 특수교육 교육과정으로 명칭 변화 - 특수교육 교육과정 : 특수교육법을 근거로 특수교육대상자가 배치되어 있는 유치원, 초, 중등 학교, 특수학교의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국가수준 교육과정 : 일반 유치원 교육과정(누리과정) 목적을 장애유아에 맞게 설정 - 대상 : 만 3~5세 발달지체 유아 - 누리과정에 최대한 참여할 수 있도록 개별화교육계획(IEP) 수립 - 대상 : 일반교육의 초, 중등 교육과정을 보완하여도 어려운 발달장애 학생들 - 실생활 연계 위주 - 특징 1) 핵심역량 중심 교육과정 - 삶의 맥락에 걸쳐 모든 사람이 필요올 하는 일반적인 요소 ( ex. 직업생활 ) 2) .. 2023. 4.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