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ducation/특수교육의 이해

7. 통합교육을 위한 교육지원

by Yebin (Kylie) 2023. 4. 16.

1. 통합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 " 중다수준교육과정 + 중첩교육과정 "

  1) 공통활동: 모든 학생들 참여

  2) 구분활동: 수준별 or 개별 학습성과 달성

         - 중다수준교육과정: 학생에게 적절한 어떤 수준으로부터 제공될 수 있는 학습성과 달성

         - 중첩교육과정: 장애학생 만의 차별화된 교욱과정 상의 학습성과 달성

                          → 장애학생 학습성 or 수준이 대부분 학생과 비교해서 심각하게 낮을 때

 

∴ 1) 비장애학생들과 동일한 학습성과 도달할 수 있는가

    2) 어렵다면, 중다수준교육과정 두가지 수준은 가능할까

                         ML-S (동일한 내용, 다른 수준·분량) / ML-D (다른 내용, 수준, 분량)

   3) 중첩교육과정

 

 

2. 교수적 수정 (instructional adaptation) for 장애학생의 의미 있는 일반학급 참여

1) 교수자료 수정 

① 지시문을 단순, 명료

② 적은 학습 분량 ( 홀수번만 풀기 or 한 문제 풀고 또 한 문제 )

③ 불필요한 자극 제외 ( 창 모양으로 오린 종이 → 주의 분산 쉽기 때문 )

④ 중요 정보 두드러지게 ( 형광펜 )

⑤ 문제집에 표시 ( 오른쪽 아래 자르기 )

⑥ 추가 연습활동 제공 

⑦ 내용교과에 용어해설 제공 ( 내용교과 = 학문 자체를 배우는 것 ex. 사회, 과학 )

⑧ 읽기를 돕는 안내 정보 제공 ( 로드맵 )

⑨ 중요한 문항, 항목 단서 ( 별표 )

 

2) 교수방법 수정 for 전체 학생

    : 학습에 어려움이 있는 다른 비장애학생들도 수업 참여에 도움 O

① 지시를 몇 번 반복 ( 지시 단순화: 한 번에 한 지시 + 칠판에 적기 )

② 반복되는 일상적인 수업 방식 ( 부득이하게 바뀔 경우, 미리 언질 )

③ 베껴 쓰는 활동 ↓ ( 인쇄물 배부 )

④ 단계적으로 설명 ( 작은 여러 단계로 )

⑤ 언어정보 + 시각정보 ( 다감각 사용 → 빔프로젝터 )

⑥ 칠판에 중요내용, 핵심어

⑦ 매일 복습 강조 ( 반복학습 강조 )

 

3) 학생수행 수정 only for 장애학생 ( 전체 학생 X )

① 반응양식 변경 허용 ( 쓰기 → 밑줄 )

② 필기를 대체하도록 강의 노트 사본 제공 

③ 학습보조기기 사용 ( 텍스트-음성 변환 (text-to-speech; TTS) , 계산기 )

  - 가급적 사용 X 추천 → 신중히 결정 필요

      ( 낙인 이론, 보조기기에 대한 의존성 )

④ 추가 연습 허용

⑤ 학습 시간을 융통적으로 사용

⑥ 과제 대체물 or 과제 수정 허용

 

4) 교수활동 수정 ( 수업을 for 장애학생 )

① 과제의 양 ↓

② 과제를 쉽게 or 구체적으로 ( 난이도 ↓ )

③ 과제를 활동 중심으로 ( 언어적 참여 < 비언어적 참여 )

④ 과제를 작은 단계로 ( 과제 분석 = 여러 단계로 쪼개기 )

 

5) 부분 참여

- 부분적으로 참여 = 가치 있는 경험 → 긍정적인 상호작용 

- 전부 아니면 전무 ( all or nothing ) X = 이분법적인 사고 X

  → 참여의 기회조차 잃게 됨

 

3. 통합교육에서 교수적 배치 (instructional arrangement; 수업 상황에서 자리배치가 달라진다)

  1) < 협동 학습 (cooperative learning) >

- 자신의 성공 < 모둠의 성공 → 장애학생에게 추가적인 관심, 도움 → 상호작용, 긍정적 관계

 

  2) < 학급단위 또래교수 (classwide peer tutoring: CWPT)

- 학생에게 교수를 떠맡김 X 교사가 또래교수 주의 깊게 구조화 O

- 튜터 - 튜티는 번갈아가며 바꿈

 

4. 통합교육에서 평가

1) 통합교육에서 학생수행사정

① 교육과정중심사정 ( curriculum-based assessment: CBA )

     : 수업 시간에 배워야 하는 것(교육과정)을 중심으로(중심) 학생의 수행수준 측정(사정)

    - assessment ( = 자료수집 / 평가 X (evaluation) ) : 가치중립적 = 좋다 / 나쁘다 X

  - 수업 교육과정 = 교육 진전도를 측정하는 척도

  - 수행을 사간에 따라 반복적으로 측정 → 교수 방향 파악

② 교육과정중심측정 ( curriculum-based measurement: CBM )

    : 진전도 모니터링(progress monitoring)

  - 학습 진전도와 사용하는 중재법의 효과성에 대해

  - 시간에 따라 수행정도를 여러 번, 지속적으로 측정 → 그래프 

  - 보통 읽기, 쓰기, 수학적 계산 → 분당 정확도

 

2) 평가방법 수정

 

 

5. 통합교육에서의 협력

    : 교사들이 공유 → 교사들의 동등성 (수평적 관계)

- 협력의 이점

   : 현행 개별화교육계획 향상 / 전문가들끼리 의사소통 향상 /

     교사들의 고립감 제거 / 학생에 대한 전문가팀의 책무성 강화

- 통합요소에서 협력의 방해 요소

▣ 개별화교육지원팀의 협력 유형 ( IEP 수립 및 실시 )

1) 다학문적 팀 접근 ( IEP 수립 따로 / 실시 따로 )

  - " 장애학생의 머리는 교사에게, 손은 작업치료사에게, 다리는 물리치료사에게 "

2) 간학문적 팀 접근 ( IEP 수립 함께 / 실시 따로 )

  - 전문가들이 서로 만나서 정보 교환 협력

  - IEP 수립 때는 책임이 있어서 서비스 제공 but 이후에는 협력 X

3) 초학문적 팀 접근 ( IEP 수립 함께 / 실시 함께 ) < 이상적 >

  - 전문가들이 함께 수립하고, 정보를 교환하고 협력하며 실시

  - 서비스 분업화: 사례 관리(case management) 계획 수립 의사소통

 

▣ 협력 교수 (w. 다른 교사의 도움)


▣ 협력적 자문

    : 문제가 무엇인지 명확히 하고, 해결방안을 찾기 위한 전문가들 상호 합의

- 일반교사는 

1) 학생의 행동과 학습 문제 예방 → 예방적 중재

2) 행동과 학습 문제 교정 → 교정적 중재

3) 중재법 조정 → 보완 or 대체

  도움을 받을 수 있음

∴ 일반교사는 특수교사 or 장애전문가로부터 협력적 자문 받는 것 부담스러워하기 X

자문의 목적 = for 일반학급에서 자문대로 실행하기 O / for 해결해 주세요 X


* 국내 특수교육에서 주로 사용되는 협력적 팀 접근방식은 초학문적 접근이다. ( X ) → 다학문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