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장애 명칭과 의학적 진단의 의미
1) 의학적 관점
- 장애의 원인 : 개인(휠체어 사용자)
- 신체나 인지에서 '비정상성' → 정상으로 돌리기 위해 '교정'해야 함
- 장애 = 극복해야 하는 대상
* 계단 = normal / 계단을 못 올라가는 사람 = abnormal
* 교과서 = normal / 교과서를 못 읽는 사람 = abnormal
2) 사회적 관점
- 장애의 원인 : 환경(계단)
→ 보통 비장애인들을 위해 설계되었기 때문에 이 점을 간과하였구나!
→ 보편적 설계(universal design)
: 모든 사람들이 사용할 수 있게 디자인하자 X
최대한 많은 사람들이 사용할 수 있게 디자인하자 O
→ [교육계] 보편적 학습 설계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 UDL)
- 접근성 ↑ but 그럼에도 적용시킬 수 없는 학생이 있을 수도 있기는 함
[ 두 관점을 조화롭게 사용해야 함 ]
▣ 장애인 명칭
- 중국 : 잔질인 (병에 걸렸으나 낫지 않음)
- 일본 : 장해자 (해로울 해) → 일본의 보험 체계를 가져오다 보니 자연스럽게 명칭이 들어옴
- 한국 : 장애자 (노비 자) → 장애우 (벗 우) → 장애인
- 미국 : disabled person (장애 + 사람 : 장애가 먼저 = 장애의 원인이 환경 = 사회적 관점)
→ person with disabilities (사람 + 장애 : 사람이 먼저 = 장애의 원인이 사람 = 의학적 관점)
▣ 장애유형 명칭 사용의 장점과 단점
- 장점
1) 장애유형별 의미 있는 차이 인식
2) 조정과 서비스 제공
3) 긍정적 수용
- 또래에게 장애 특성 설명 → 관계 형성 ↑
4) 의사소통 촉진
- 전문가들 간의 의사소통 ↑
- 단점
1) 실제 능력 간과 (할 수 O < 할 수 X)
2) 낙인 발생 (또래의 놀림 → 자아 존중감 ↓)
3) 낮은 기대감 (잠재능력 깨닫지 X)
4) 다른 특성 설명으로 사용 (일부의 특성만을 설명 = 일반화 X)
5) 동일 특성으로 간주 (개인차)
▣ 일반 교사가 의학적 진단을 이해할 경우 장점
1) 전문가 팀 협력에 도움
2) 전문적 상담 (w. 통합 교육에 기대를 하고 계시는 부모님)
3) 적절한 교육활동 판단 (ex. 인공다리를 단 학생 - 체육 수업)
4) 장애로 인한 이차적 문제 확인 (ex. 발작 등)
▣ 장애의 기준
특수교육대상 아동
= 특수아동 대상(exceptional children) = 장애아동(childeren with disabilities) + 영재아동 (gifted children)
* 사회정치적으로 장애의 기준이 달라짐 = 절대적 기준 X
1960년대 (평균-5p) 이하 = 85 이하
영재 (평균+25D 이상) = 130 이상 = 2.27%
2. 장애 개념 및 특성
- 이론 상 장애 : 장애 = 매우 다양하지만 보편적인 특성
= 누구나 경험할 수 있다 (ex. 잼 뚜껑을 열려고 하는데 열리지 않음 = 장애를 경험)
= 장애/비장애 이분법적 나누기 X
- 장애 = 기능(functioning) 수준 = 완전 장애 - 완전 능력 연속선상 중 하나
(ex. 안면화상 = 기능 상의 어려움 X = 장애 X)
→ 사회정치적, 시대, 지역, 성별에 따라 장애 기준이 달라짐 = 실제 장애
→ 장애 발생률(incident) + 출연률(prevalence) 달라짐
(인과관계를 통해 예방) (변화 X - 의학계 용어 '유병율')
- 완전 장애 - 완전 능력 연속선상
- 장애 = 기능 상의 어려움 (기능에는 지적 기능, 시각 기능, 청각 기능 다양하지만, 지적 기능만 일컬음)
- 지적 기능 장애 = 지적 기능 상의 어려움 = 평균 - 25p 이하 = 70 이하 = 2.27%
= 초등학생 100명을 무작위로 뽑았을 경우 22명 or 23명은 지적 장애
= 확률적으로 고정 (앞으로 계속 2.27%는 지적 장애)
▣ ICIDH 모형(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Impairment, Disability and Handicap)
- 손상(impairment), 무능력(didsability), 불이익(handicap)
< 개인적 관점 > < hand in cap = 구걸 = 환경과 상호작용이 어려움 = 의학적 관점>
- 의학적 관점 (질병 또는 이상 = disorder / 개인으로부터 출발)
- 부정적 용어 ('불'이익 : 손상과 무능력이 있다고 무조건 불이익은 X)
- 단방향성
▣ ICF 모형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 신체의 기능과 구조, 활동, 참여
- 사회적 관점(개인 요인 + 환경 요인)
- 긍정적 용어
- 상호작용
3. 특수교육의 특징 < 중재 / 촉진>
▣ 중재(intervention) 실시 = 일반교육과 다른 점
1) 예방적 중재 (preventive) [1차, 2차, 3차 예방적 중재]
- "학생에게 장애가 없었으면 좋겠어!"
- 장애 원인 제거 or 부정적 영향 줄이기
[1차 예방적 중재] for 모든 학생
: 장애 자체가 발생하지 않도록 모든 학생의 위험요인 제거
ex) 학급 모든 학생을 대상으로 긍정적 행동지원
[2차 예방적 중재] for 1차에서 반응을 보이지 않는 몇몇 학생
: 1차보다 더 높은 수준의 중재 실시
ex) 페닌알라닌 대사가 되지 않는 유전병 → 특수 분유만 주면 지적장애 방지 가능
[3차 예방적 중재] for 장애가 발생한 학생
: 장애가 발생함 → 영향 최소화 < 조기 발견, 조기 중재 >
ex) 특수교육 의뢰 → 집중적, 개별화 중재
2) 교정적 중재 (remedial) = 재활 훈련의 교육ver.
- "학생에게 장애가 있지만, 이것만큼은 꼭 스스로 했으면 좋겠어!" (간절한 바람)
- 독립적으로 기능하는데 필요한 기술 가르치기가 목표
- 학교 : 개인관리기술(ex. 옷입기, 씻기), 사회적 기술(ex. 의사소통), 학업적인 기술(ex. 읽기, 쓰기, 계산)
3) 보상적 중재 (compensatory)
- 장애로 인해 하지 못하는 과제를 대체기술을 통해 수행하도록 목표 (보조공학 포함 = 특수교사)
ex) 손 사용 어려움 → 막대로 누르기 / 맹학생 → 점
▣ 촉진 (prompt)
- 유형
1) 언어적 촉진 : 말 "좋아!", "아니야!" → 청각적
2) 몸짓 촉진: 손으로 가리키기 → 시각적
3) 모델 촉진: 교사가 시범을 보여주기 → 시각적
4) 신체적 촉진 : 교사가 학생의 손을 잡고 가리켜주기 → 촉각적
■ 최소-최대 촉진전략
- 독립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기회 → 최소 to 최대
( 언어 → 몸짓 → 모델 → 신체 )
단) - 교육 중 오류를 학습할 수도 O
- 잦은 피드백 → 학생의 학습 동기 저하
■ 최대-최소 촉진전략
- 촉진으로 시작(주로 신체) → 점차 줄여감
단) 교사의 촉진에 너무 의존
∴ 장애 학생의 능력 수준에 맞게, 일관되게 / 궁극적으로 학생 스스로 할 수 있게
* 장애아동은 일반교사와 무관하지 않다. (O)
* 장애가 없는 사람을 비장애인이라고 하는 것이 옳다. (O)
* Wechsler 지능 검사 만으로 지적 기능에 어려움이 있는지 판정하는 경우에는 주로 지능지수를 70 기준으로 본다. (O)
* 국내 특수교육은 영재아동을 포함하지 않는다. (O)
* ICIDH 장애 모형은 의료적 관점으로 장애를 보고 있다. (O)
* ICIDH 장애 모형이 현재 사용되고 있다. (X) → ICF 모형
* handicap은 최근에 장애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용어다. (X) hand + in + cap = 구걸을 의미하여 현재 사용되지 X
* ICIDH에서 말하길, impairment와 disability를 가지고 있으면 반드시 handicap을 경험하게 된다. (X)
→ 개인에게 손상이나 무능력이 있다고 해서 반드시 불이익이 발생하는 건 아니다
'Education > 특수교육의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7. 통합교육을 위한 교육지원 (0) | 2023.04.16 |
---|---|
6. 특수교육 교육과정과 개별화교육계획 (0) | 2023.04.16 |
5. 통합과 교육배치의 원리 (0) | 2023.04.16 |
4. 교내 특수교육 현황과 교육지원 (0) | 2023.04.16 |
3. 특수교육의 개념 (0) | 2023.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