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ducation15

2. 장애개념 및 특수교육의 특징 1. 장애 명칭과 의학적 진단의 의미 1) 의학적 관점 - 장애의 원인 : 개인(휠체어 사용자) - 신체나 인지에서 '비정상성' → 정상으로 돌리기 위해 '교정'해야 함 - 장애 = 극복해야 하는 대상 * 계단 = normal / 계단을 못 올라가는 사람 = abnormal * 교과서 = normal / 교과서를 못 읽는 사람 = abnormal 2) 사회적 관점 - 장애의 원인 : 환경(계단) → 보통 비장애인들을 위해 설계되었기 때문에 이 점을 간과하였구나! → 보편적 설계(universal design) : 모든 사람들이 사용할 수 있게 디자인하자 X 최대한 많은 사람들이 사용할 수 있게 디자인하자 O → [교육계] 보편적 학습 설계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 UDL.. 2023. 4. 16.
Ch.4 Human Learning 1. Behavioral Perspectives 2. Cognitive Perspectives - Learning as Meaningful Storage and Retrieval - Systematic Forgetting and Cognitive "Pruning" - Cognitive Linguistics 3. Social-Constructivist Perspectigves - Carl Rogers - Paolo Freire - Lev Vygotsky 4. Fundamental Concepts in Human Learning - Types of Learning - Transfer and Interference - Overgeneralization - Inductive and Deductive Reason.. 2023. 4. 12.
Ch.1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Carson은 캘리포니아 사람인데 고등학교 2년과 대학교 2년, 총 4년 스페인어 수업을 들었다. 쓸모 없다 느껴 Costa Rica에 가서 최대한 영어를 덜 쓰고 스페인어를 많이 쓰려 노력했다. 다시 미국에 왔을 때, 대화하며 "잘 어울릴 만한" 정도의 스페인어를 터득했다고 말했다. Sonia는 브라질 사람인데, 독일 부모님의 등쌀에 못이겨 고등학교 내내 독일어 수업을 들었다. 대학교 2년이 지나자, 그저 부모님을 기쁘게 하려고 독일어를 배우는 느낌이 든다고 하며, 독일어 문법에 대한 지식은 많다 느낀다고 했다. 십년이 지나고 본인의 독일어 실력은 어느정도냐 물으니, 듣기는 꽤 괜찮고, 독해는 괜찮으며, 말하기는 못하고, 작문 실력은 거의 존재하지 않다고 답했다. 이를 통해 언어의 유창성은 하루 아침에.. 2023. 4.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