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ociety/America

미국의 소비주의 (Consumerism)

by Yebin (Kylie) 2021. 10. 21.

이 게시물은 한국외국어대학교 '현대 영미 사회'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This post is written based on 'Modern English Society' in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Languages.

 

1. 유럽보다 더 오래 일하는 미국

2. 미국의 과소비

3. 왜 미국은 저렇게 많이 소비할까?

4. 소비를 권장하는 사회적 장치

5. 소비에서 비롯된 사회의 장단점


1. 미국은 유럽보다 더 오랜 시간을 일함

- 일하는 시간은 몇 십 년동안 계속 증가해왔음

- 미국인들은 돈을 더 선호하기 때문에, 일하는 시간을 줄이고 여가시간을 늘리는 걸 좋아하지 않음

- 그 이유

① 대부분의 미국인들은 경제적 압박감을 가지고 삶

: 자신의 소득에 비해 많이 소비하는 것에 익숙해져 있음

② 기업 입장에서, 직원↑일하는 시간↓< 직원일하는 시간

: 직원 하나를 고용하는 데는 '월급+30%(의료보험, 사회 보장제도, 공간 대여료 등)'이기 때문

 

2. 많은 양을 소비하는 미국

- 미국의 인구는 전 세계의 1/20이나, 전 세계 종이의 1/3을, 기름의 1/4를 소비함

(미국에서 대중교통이 발달되어 있지 않아, 원유 소비는 영국의 2배이고 일본의 2.5배임)

- 미국은 몇 년동안 계속 지속적으로 소비가 증가해왔음(ex. 집의 크기)

- 미국은 '세계의 소비자(the consumer of the world)'라고 불림

: 미국의 엄청난 소비양이 세계 경제의 성장을 지지해 줌

: 미국은 소비>생산이다.

→ 이것이 어떻게 가능할까?

: 달러가 기축통화이기 때문에, 이는 기축통화를 가진 자의 특권임)

 

※ 같은 수입의 유럽인보다 예기치 못한 상황에 더 취약한 미국인

- 미국은 수입이 유럽보다 더 많지만, 저축하지 않음(소득 대비 저축 비율이 3% 이하)

- 미국의 사회 보장제도는 유럽과 비교하면 빈약함

▶ 미국인의 삶은 더 풍요로워 보이지만, 더 유동적이며 안정하지 못함

 

3. 미국은 왜 저렇게 많이 소비할까?

① 물질적 풍요를 찬양하는 문화적 가치

- 미국은 '검소(thrift)'가 미국적이지 않다(un-American)고 생각함

(Oil Shock 때, 대통령이 절약하자고 하였으나, 그건 미국적이지 않다고 비판을 하였음)

② 소비를 권장하는 문화적 가치(=소비주의, comsumerism)

- 소비가 삶의 미덕이자 가치라고 여김

③ 사회적 연결의 중요한 요소가 '소비'라는 인식

- '내가 소비하는 것이 내가 어울리는 사람을 의미한다'

 

4. 소비를 권장하는 사회적 장치

① 광고와 상업화된 대중 매체

- 광고주는 사람들에게 필요하지 않더라도 사람들이 꼭 사게 하라고 설득함(광고의 역할)

- 문화적 가치가 젊고 새로운 것을 칭송하고, 지혜와 경험을 무시하는 것도록 추구함

(노인이 살 수 없는 나라인 이유)

- 미국의 대중 매체는 민영 기업이므로, 이윤에 따라 움직임

: 소비는 TV 프로그램의 녹아 있는 요소임

: TV를 더 볼수록, 더 많이 소비하게 됨(광고로 돈을 벌어야 하기 때문에, 절약이 미덕이라는 말을 일절 하지 않음)

 

② 신용카드와 할부

- 카드 회사는 소득보다 더 많이 사도록 부추김

: 사람들이 카드 회사에 빚 진 것으로 이윤을 얻기 때문

: 미국은 큰 물건(차 혹은 집)을 빚을 내서 사도록 권장함(구매를 미루지 말고 할부를 해서 사도록 권장)

: 미국인의 절반은 카드 빚이 있는데, 평균 $15,000임.

: 미국 가정은 가족 수입의 9%를 이자를 내는 데 씀

 

③ 소비의 개인화

- 대부분의 소비는 개인적으로 이루어짐(남과 공유X)

- 공공재는 유럽에 비교하면 정말 적음

ex) 교통 수단, 건강 보험, 아이들 돌봄 시설 등

▷ 이유: 인종, 계층, 기업의 이윤 추구를 위해서

(인종: 백인은 흑인과 같이 사용하고 싶지 않아함

계층: 부자는 거지랑 같이 이용하는 건 아깝다고 생각함)

 

④ 기업의 주장, 좋은 경험<소비

- 사람은 일정한 수준의 물질적 풍요를 이루며, 소비가 아닌 좋은 경험을 할 수록 행복이 증가함

- 좋은 경험은 상업화 되어 이익을 추구하기 어려움

- 좋은 경험은 소비의 금액에 비례하지 않음

 

5. 소비에서 비롯된 사회의 밝은 면과 어두운 면

장점 ① 경제 성장은 생산에 대응하는 소비를 필요로 함

- 소비↑생산↑GDP↑

장점 ② 혁신

- 경제 규모가 커지면, 혁신(새로운 아이디어)이 커짐 → 낙관주의(optimism)으로 이어짐

 

단점 ① 개인화된 소비는 소득 격차를 강조함

단점 ② 자원 부족, 환경 오염, 기후변화

 

※ 결론

- 미국의 노동 시간↑

1) 기업이 장시간 근무를 권장하기 때문에

2) 돈을 많이 벌어야 하기 때문에 for 주머니에 맞지 않는 소비

3) 이렇게 소비하라고 광고와 대중매체에 설득당했기 때문에

4) 기업은 이윤을 추구하기 때문에, 미국의 기업은 이러한 설득을 정말 잘하기 때문에

▶ 물질적 풍요 + 장기간 근무


https://www.pbs.org/newshour/show/making-sense

 

Why we crave what’s cool

What does it mean to be cool? It's a means of standing out, as well as a way of fitting in. In studying the brain, economists have found that when we consume products from status brands, it actually gives us a way to create social networks, friendships, al

www.pbs.org

  우리가 멋진 물건을 볼 때, 뇌의 어떠한 부분을 자극시켜 좋은지 아닌지 판단한다. 광고 역시 이러한 것을 잘 이용하여 'cool'하다는 생각이 들게 하여 소비욕구를 일으킨다. 

  사람들이 소비하는 이유로는, 어떤 좋은 물건을 샀을 때 '와, 그거 멋지다!'라는 말을 듣는 게 좋아서이다. 그리고 이런 반응이 인간관계로 이어진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좋은 물건을 사면 무리에 소속된다는 생각 때문에 계속 소비를 하게 된다는 것이다.

  특히 10대들은 자아 정체성이 아직 확립되지 않았기 때문에, 좋은 브랜드의 물건을 사면 그 브랜드의 정체성이 '나'의 정체성이 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멋진' 것에 대해 소비를 많이 한다. 그리고 불평등으로 낮은 계층의 아이들은 다른 아이들이 산 브랜드의 물건을 보고 많이 힘들었다고 얘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