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ssays

Analysis of the English Education in South Korea

by Yebin (Kylie) 2021. 6. 11.

  How much time have people living in South Korea spent learning English since they were born? Today is an era of globalization. As international exchanges increased, English became a global language and became widely used, and its importance has been recognized. Just by walking down the street now, you can see that it is rare to find a signboard written in Korean only. You can see the passion for English education is high in Korea. Because it is said that early education is important for language study, parents in South Korea have been making kids study English since they are not yet familiar with Korean. As a result, the English market for private education is growing every year, and the scope of education is expanding. In this situation, people say that it is natural to keep up with the globalization era. On the other hand, some argue that English is too emphasized in Korea, though it is not the language of where they live. What kind of stance should we take about English education in Korea?
   Then why is studying English so important? From the economic point of view, it is linked to the country's growth strategy. Korea has a small population and a limited natural resource, so it is practically difficult to make and live everything on its own. Therefore, it is natural for them to achieve economic growth through trade, which became the base of the development of domestic. Although it showed a high growth rate due to the growth of manufacturing trade, the economy stumbled a few times under the influence of uncertainty in the global economy, which reminded the importance of the domestic economy. Nevertheless, the fact that trade will take up a large part of the economy of South Korea remains unchanged. Therefore, English which acts as a bridge between countries becomes important.
   Then is it right for us to spend so much time and money on studying English? Why there are people who claim that English education in Korea should be changed now? First, English in South Korea is not a language for communication, but a tool to test students. Only English grammar and reading comprehension are important. When learning a second language in other countries, it usually goes from practical to systematic, but Korea goes from the system and to practice. This can make children easily lose interest to learn. Language classes in other countries are mostly essay-based, such as writing a letter to a friend in that country, and in Korea, most of them are multiple-choice questions. An Essay has the advantage of creating talented geniuses in many ways in that it demands not only English skills but also writing skills and creativity. Second, it only pursues too high-quality and formal words. Rather than learning English as a language to connect with foreigners, it is just academic and not used much in everyday life, which can be seen in Korea's biggest test, the College Entrance Exam, and TOEIC. Third, from an economic perspective, it creates a gap between rich and poor. It is a linguistic trait, whe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uses the language, it is naturally learned. That is why many students study abroad in English-speaking countries from Korea. According to research by the Department of Education, most students who went abroad to study English say they can communicate in English easily. In this regard, students who can afford to study abroad are likely to have a relatively higher level of skills than other children, which can lead to a typical elite course in getting good grades and going to a good university, inevitably helping to strengthen the establishment. 
  So, the English education they are promoting is more focused on speaking skills. They argue that it is better to increase the number of foreign teachers assigned to each school and to deploy them also to high schools to learn languages naturally and interestingly. It was also suggested that all multiple-choice tests should be changed into essay questions for more sophisticated evaluation.
   However, those in favor of Korean English education dispute it, citing the essence of the Korean English test. This is because the College Entrance exam is not actually to communicate with foreigners but to evaluate how well you can understand papers and major books written in the original form of English. In addition, usually, Koreans have more opportunities to read English than to talk to foreigners, which means that Korean English is based on grammar rather than practical parts.
   In addition, there is a contradiction to the claim that the purpose of English education in Korea is to read the original book, not to communicate with foreigners. But they say even native speakers of English find it difficult to read English text in the College Entrance Exam. Of course, all Koreans cannot solve the Korean language problem easily, and some native English speakers may lack reading comprehension. But even a Cambridge graduate, broadcaster, said he had never read anything like it in his life. Though they both must have read numerous volumes of academic readings, they feel it is too difficult. This shows Korean English is far more strangely difficult, which is far from the original purpose of the College Entrance Exam. 
   Then why did our English education end up in this reality? Considering the situation so far and from the point of political and cultural view, it was suggested that there was no clear vision, level of expectation, and strategy in the process of creating education policies. It is a person's natural characteristic to memorize when they are under a lot of pressure in an incomprehensible situation. Students who lack basic skills need time to strengthen their basic skills, but they might feel like they are falling behind, which forced them to keep up with the progress of other students, memorizing recklessly. And this way of thinking was created after the rapid economic growth after the Korean War in the 1951s, making the most important thing was studying, ignoring the value of physical work. And people got to think that the only way to succeed is studying, resulting in an over-competitive society.
   Then in which direction should English education in Korea be led? Nothing will be changed unless we completely change the way we are currently implementing education and the level of expectation we are pursuing. It is necessary to consider and decide whether excessive reading will be helpful to students or which areas to emphasize. And the first step would be to reform teachers in middle and high schools now. Among the departments of universities, outdated and impractical departments need to be sorted out. For example, Finland, which has a high level of education, teaches using AI. Although new technologies should be introduced and widely used, people do not easily accept their establishments. We must reform quickly, promising to protect them.
   I agree with the saying that English education is necessary for general. But the next question was not asked. What level of English should we have? It is true that present English education forces too much. Changing it right now can be tough of course, but I hope everyone will think about it before it is too late.

 


  대한민국에 사는 사람들이 태어난 이후로부터 영어를 배우는데 얼마나 많은 시간을 쏟았을까? 지금은 세계화 시대이다. 국제적인 교류가 증가하면서 영어는 세계 공용어로 지정되어 널리 사용되게 되었고, 그 중요성을 인정받게 되었다. 지금 길을 걸어가기만 해도 간판에 순 한글로만 쓰인 경우가 더 드물다는 것을 알 수 있을 정도이다. 그만큼 한국에서도 영어에 대한 교육열이 높아졌다. 언어공부에는 조기교육이 중요하다는 이유로 아직 한글도 익숙하지 않은 나이 때부터 영어 공부를 시키고 있다. 19살까지 내내 영어를 공부하고 시험을 치러 대학교에 간 성인들도 스스로 부족하다고 생각하여 졸업한 후에도, 취업한 후까지 영어공부에 매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사교육 영어 시장은 매년 커지고 있으며, 교육 대상의 범위도 점점 넓어지고 있다. 이런 대한민국의 실태에 사람들은 세계화 시대에 발맞추기 위해서는 당연한 것이라고 말한다. 반면, 어떤 사람들은 한국 사람이 한국에서 태어나 사는데 영어가 뭐 그렇게 중요하냐고 반박하기도 한다. 우리는 한국에서 영어교육에 대해 어떤 스탠스를 취해야 할까?

  그렇다면 영어 공부는 왜 그렇게 까지 중요할까? 경제적인 측면으로 보자면, 국가의 성장전략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대한민국이라는 나라는 인구도 적고 천연자원도 적어, 자급자족으로 모든 것을 만들어 사는 것은 실질적으로 어렵다. 그렇기에 자연스럽게 무역을 통해 경제성장을 이루었고, 이 소득을 바탕으로 국내의 시장도 발전해왔다. 국내 시장이 제조무역으로 높은 성장율을 보였지만,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의 영향을 받아 경제가 몇 번 휘청거렸고, 이는 국내 경제의 중요성을 일깨워주었다. 그래도 대한민국의 경제의 중심은 무역이 큰 부분을 차지할 거란 점에서는 변화가 없다. 지금까지 해왔던 것처럼 좋은 물건을 만들어 수출을 하든, 음악, 영화와 같은 한류 같은 창의적 컨텐츠를 수출하든, 몇몇 선진국들처럼 세계 최고의 기술을 만들어 로열티를 받고 판매를 하든, 해외에 판매를 해야 한다는 점이다. 그렇기에 자연스럽게 영어는 중간다리 역할을 하며 중요성을 지니게 된다.

  그럼 우리가 이만큼 영어 공부에 많은 시간과 돈을 쏟는 것이 옳은 일일까? 현재 대한민국의 영어 교육이 바뀌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은 왜 그런 주장을 하는 걸까? 첫째로, 대한민국의 영어는 글로벌 시대에서 꼭 필요한 언어로서, 즉 의사소통을 위한 영어가 아니다. 그저 영문법과 읽기, 독해만이 중시되고 있을 뿐이다. 다른 나라에서 제2외국어를 배울 때는 보통 실용적인 부분에서 체계적인 부분까지 세세하게 들어가지만, 한국은 먼저 체제를 배우고 실용적인 부분으로 넘어간다. 어렵고 딱딱할 수 있는 체제부분을 먼저 배우자, 아이들은 쉽게 흥미를 떨어뜨리고 단순히 어렵다는 거부 반응만이 생길 뿐이다. 또 다른 나라의 언어수업은 대부분 그 나라 친구한테 편지를 쓰는 등 에세이로 시험 방식을 정하는데, 한국에서는 대부분 객관식으로 문제를 낸다. 에세이는 영어 실력뿐 아니라 작문 실력과 창의력까지 요구를 한다는 점에서 다방면으로 유능한 인재를 만들어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로, 지나치게 수준이 높고 형식적인 단어를 추구한다. 다른 나라의 언어 수업은 해당 나라에서 사는 전제로 학습하는데, 한국에서는 시험을 전제로 학습한다. 한국의 가장 큰 시험인 대학수학능력시험, 취업을 하는데 필요한 기본적인 시험인 토익이 대표적인 그 예이다. 지나치게 학술에 치중하여 외국인들과 이어줄 언어로서 영어를 배우는 것이 아니라, 그저 학술적이고 일상에서 많이 쓰이지 않는 영어를 위주로 배우는 것이다. 셋째로, 경제적 관점에서 보면 빈부격차를 유발한다. 언어적 특성이지만, 주변 환경이 해당 언어를 사용하면 자연스럽게 그 언어를 배우게 된다. 한국에서 영어권 국가로 유학을 보내는 이유이다. 그렇게 유학을 가면 1년이면 영어를 어느정도 구사하며, 3년이면 이상한 발음으로 얘기하는 것도 거의 다 알아듣는다고 한다. 기본적인 회화, 독해, 영어로 친구와 편지 주고받기, 전화통화하기, 신문이나 광고 읽기는 어느정도 할 줄 안다는 것이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그 어느 것도 거의 하기 어렵다. 이러한 점에서 유학을 보낼 정도의 형편이 되는 학생들은 유학을 다녀와 다른 아이들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의 실력을 갖추고 있을 확률이 높다. 이들은 곧 좋은 성적을 받아 좋은 대학에 가는 전형적인 엘리트 코스를 밟을 확률이 높을 것이고, 이는 기득권 층을 더욱 두텁게 하는데 도움이 될 수밖에 없다.

  그래서 이들이 내세우고 있는 영어 교육은, 영어의 말하기에 좀 더 초점을 두는 것이다. 학교 별로 배치되는 외국인 교사들의 수를 늘리고, 고등학교에도 외국인 교사를 배치하여 자연스럽고 재미있게 언어를 배워 나가는 것이 좋다는 주장이다. 또 다소 진보적으로 객관식으로 구성되어 있는 시험을 모두 에세이형 문제로 바꾸어 평가를 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되었다.

그러나 이에 대해 오늘날 한국 영어 교육에 찬성하는 사람들은 한국 영어시험의 본질을 거론하며 반박한다. 대학 수학 능력 평가 시험은 실제로 외국인과 소통하기 위한 영어가 아닌, 대학교에 올라가서 원서로 쓰인 논문과 전공 서적을 얼마나 잘 이해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해서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한국에서 사는 한국인이 영어를 써야 할 때 외국인과 대화할 일보다는 영어 글을 읽을 일이 훨씬 많다는 점을 들어 한국 영어가 실용적인 부분보다는 문법과 같은 체제를 위주로 이루어져 있는지 말한다.

  여기에 재반론이 이어지는데, 한국의 영어 교육의 목적은 원서 독해에 있지, 영어 회화가 아니라는 주장은 영어를 모국어를 쓰는 사람조차도 수능 영어 지문을 읽기 어려워한다는 점이다. 물론 한국인이라고 해서 국어 문제를 술술 풀지 못하고, 영어 원어민 중에서도 독해력이 부족한 사람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케임브리지 대학 졸업생, 방송작가 조차도 살면서 단 한 번도 이런 글을 읽어본 적이 없다고 언급했다. 강도 높은 학업 양을 요구하는 케임브리지 대학의 졸업생, 글쓰기가 자신의 생업인 방송작가가 살면서 읽은 원서의 수는 셀 수 없을 정도일 텐데, 수능 영어가 난해하다고 말하는 것은 한국 영어 교육이 원서 독해를 기준으로 보아도 잘못되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나라의 영어 교육이 왜 이런 현실에 처하게 되었을까? 여태까지의 상황과 정치적, 문화적 맥락 등을 고려해 보았을 때, 교육 정책을 만드는 과정에서 명확한 비전, 기대수준, 이에 따른 전략이 없었기 때문이라는 의견이 제기되었다. 이해가 안 되는 상황에서 많은 압박을 받으면 암기를 하게 되는 것은 사람의 특성이다. 기본기가 부족한 학생에게는 기본기를 탄탄히 다질 시간이 절대적으로 필요하지만, 괜히 뒤처지는 느낌이 들어 억지로 다른 학생들의 진도에 발맞추어 가다 보니 무작정 암기하여 이런 상황이 오지 않았나 싶다. 그리고 이러한 사고는 이전에 1951년대 한국 전쟁 이후 급격한 경제 성장을 겪은 이후 만들어진 것으로, 가장 중요한 것은 공부라는 것, 몸을 써서 일하는 것보다 앉아서 공부하는 직업을 더 선호한다는 것을 만들어냈다. 그리고 이것은 유일한 성공하는 방법은 ‘공부’라는 사고방식을 굳혔고, 과도한 경쟁사회를 초래한 것이다.

그렇다면 한국에서는 어느 방향으로 영어 공부를 이끌어 나가야 할까? 지금 현재 시행되고 있는 교육 방식과 추구하는 기대 수준부터 완전히 바꾸지 않는다면, 어느 것도 바뀌지 않을 것이다. 지나친 독해가 학생들에게 도움이 될 지, 그렇다면 어느 영역을 강조할 지 등을 생각하여 고민하여 정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것은 지금 중학교와 고등학교의 교사들을 개혁하는 것이 첫걸음이어야 한다. 대학교의 학과 중에서도 시대에 뒤처지고 실용적이지 않은 과는 정리할 필요가 있다. 인력의 낭비를 막기 위함이다. 핀란드를 예로 들자면, 교육 부분에서 높은 수준을 자랑하는 핀란드는 인공지능과 수업을 하고 있다. 새로운 기술이 도입되어 널리 쓰여야 하지만, 교수를 포함한 기득권층은 그들의 지위를 지키기 위해 쉽게 받아들이지 않는다. 물론 개혁하기 전에 이들을 위한 장치는 마련되어 있어야 한다. 우리는 그들을 설득하고 보호하겠다고 약속하며 한 시 빨리 개혁하여야 한다.

  나는 전반적으로 한국에서 영어 교육이 필요하다는 말은 전적으로 동의한다. 그러나 그 다음 질문을 던지지 않았다. ‘어느 수준까지의 영어 실력을 갖추어야 할까?’이다. 우리나라가 무역 수출로 돈을 벌어들이기 위해서 필요한 영어의 수단은 ‘정보의 접근성과 전파성’을 위한 것이다. 그러나 현재의 영어는 지나친 수준을 강요한다. 즉, 불필요하게 높은 기대수준을 만들어 놓고, 전 국민이 이를 맞추기를 강요하고 있는 것이다. 지금 대한민국은 세계화 시대에서 너무나 중요한 영어를 잘못된 기대수준을 갖고 가장 비효율적인 방법으로 교육하고 있다. 지금 당장 바꾸는 것은 기득권의 불만을 충분히 이끌어낼 수 있지만, 더 늦기 전에 모두가 한 번 생각해보았으면 한다.